1. 갑분페
브런치 작가 여름님처럼 괜찮은 아이디를 만들고 싶었다. (현재 nerf.this.summer로 뉴스레터를 비롯한 여러 활동 중)
기존의 아이디를 갈아엎을 필요가 있었다. 게임 프로필을 만들다 대충 지은 '왈도왈도'도, 중2 때 <CBMASS는 내 친구>라는 노래에서 따온 '혐오감만점'도 내가 아니었다. 특히 혐오감을 한글 타자 치듯 만든 'guadhrka'은 대체 아이디로서 용납할 수 있는 요소가 하나도 없었다.
∙ 2주 정도를 고민하며 만든 것들
1) <작은 것들을 위한 시>를 피처링한 Halsey가 Ashley를 아나그램 해서 만든 것임을 착안해 'jeonghoon'을 열심히 아나그램 해봤다. 그리고 'johnnegoo'라는 결과물을 얻었다. John이라는 이름이 원래 있는 거기도 하고, '좋네-구' (좋네 + 얼씨구) 정도로 대충 의미부여를 할 수 있을 것 같았다.
2) 이름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어 '이'의 한자 뜻 '오얏나무'를 찾아보니 사실 '자두나무'였고 영어로는 'plum tree'였다. plum의 어감이 좋아 사전을 찾아보니 세 번째 의미로 '아주 근사한'이 나왔다. 'plummer', 'plummary' 등 어떻게든 단어를 만들어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았다.
어쨌든 결과는 둘 다 실패인데 어처구니없게도 'johnnegoo', 'johnne.goo'가 구글에 이미 있는 아이디였고 (더 변형할 만큼의 매력도 없었다.) plum은 무언가 내 단어가 아닌 것 같았다.
말하자면 둘 다 '정통성'이 부족했다. (아니 어떻게 기획자란 인간이 이런 작명을 할 수 있지... 내 자신이 경악스럽다.)
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선택지는 하나뿐이었다. 동네 친구들이 10년 가까이 불러준 별명 '요정훈', 그리고 그걸 변형시킨 'fairy훈'...
내가 나를 '페어리훈'이라고 칭하거나 요정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은 한 번도 없었지만 이만큼 어감이 좋고 정통성이 있는 닉네임을 더 이상 떠올릴 수 없었다.
그래서 나는 페어리훈이 되기로 했다.
2. 갑분티
사소한 이야기만 하는 공간을 갖고 싶었다. 브런치는 깔끔하지만 분위기상 '블로거'가 아닌 '작가'가 되어야 했고 네이버 블로그는 깔끔하지 못해 쓰면서도 내 게 아닌 것 같았다. 그러던 중 티스토리가 일반 유저도 가입을 할 수 있게 열어주어 얼른 이주했다. 리뉴얼을 한 건지 원래 그랬는지 사용하기에 정말 깔끔하고 좋다.
이번엔 정말 일관되게, 솔직하게, 소박한 내 이야기를 해볼 생각이다.
3. 인스타 갈아엎기
곧 인스타도 갈아엎을 거다. 브런치에서 여름님을 동경하듯 인스타에선 two.gin님을 동경한다. lightroom을 쓰는지 VSCO를 쓰는지 파악은 못했지만 일관된 분위기와 색감(그리고 사진 비율)이 너무 좋다.
나는 lightroom을 할 줄 모르니 일단 VSCO를 써볼 생각이다. 구독료가 한 달에 2천 원 정도 하지만 확실히 고퀄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을 것 같다. 매달 돈을 내고 카메라 앱을 쓰는 만큼 조금 더 열심히 사진을 찍지 않을까 하는 기대 심리도 있다.
그렇게 해서 찍고 편집한 첫 번째 작품(?)은 '솜이'다. 엄친멍 솜이는 우리 집에서 나를 가장 어색해한다. (강아지마저 어색해하는 나란 놈...)
'소소담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충 정리한 2021년 (0) | 2022.01.02 |
---|---|
턱관절 장애 극복기 (2) | 2021.11.10 |
대충 정리한 2020년 (0) | 2021.03.29 |
대충 정리한 2019년 (0) | 2020.01.06 |
내가 구독 중인 서비스 7 (0) | 2019.11.09 |